책/강경대 평전

053. 여러 목소리들

이동권 2021. 11. 22. 13:58

1991년에는 독점자본이 부동산 투기와 금융 투기로 물가와 집값 상승을 불러와 인플레이션이 심화됐다. 따라서 대중은 생존권에 대한 심각한 위협을 인식하고 여러 가지 목소리를 내면서 정치투쟁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 모든 고통이 강경대의 죽음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


노동자들은 한 자릿수 임금인상, 무노동무임금과 업무중단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등에 저항하며 들고 일어섰다. 빈민들은 치솟는 물가와 집값, 노점단속과 강제철거 등에 분노하며 투쟁대열에 동참했고, 농민들은 수입개방 정책과 우루과이라운드에 반대하고, 풍년이 들어도 비료 값을 걱정하며 살아야 하는 현실을 개탄하며 투쟁대열에 결합했다. 특히 경대의 죽음 이후에는 시위에 참가하지 않았던 대학생들과 일반 시민들까지 거리에 나와 노태우 정권 퇴진을 외쳤다. 


당시 야당은 노재봉 내각의 공안통치 때문에 비롯된 일이라며 내각사퇴를 강력하게 요구했다. 하지만 국민들은 노태우 정권의 일부분에 불과한 내각이 사퇴하더라도 살인적 민중탄압과 극도의 생활파탄은 멈추지 않을 것으로 확신하고 야당의 의견에 동조하지 않았다. 


학생운동 주류세력들은 노태우 정권의 폭력성을 미국이 배후조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이 공안통치를 사주하고 공작정치를 벌이고 있다는 주장의 배경에는 자국의 이익만을 위해 시장개방 압력을 행사하려는 미국의 행태에 대한 분노가 깔려 있었다. 아울러 5월 투쟁을 지속하고, 노태우 정권 퇴진 이후의 정부를 구상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공동체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노태우 정권 타도 투쟁에 실제로 동참한 모든 세력이 연합해 ‘임시민주정부’를 수립하고, 민중생존권 쟁취를 위해 새로운 조직을 만들어 노동자의 대중적 파업투쟁을 통해 노동자권력을 쟁취하자는 등의 대안적 담론들이 제기됐다. 하지만 이런 주장들은 대중에게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